본문 바로가기
M군 생활상식

은행 정기 예금 적금 차이


은행 정기 예금 적금 차이

 

은행에 돈을 저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상품은 '예금'과 '적금'입니다. 흔히 줄여서 '예적금'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은행 금리가 1 금융권 기준 1% 미만인 저금리 시대이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예금과 적금을 통해서 높은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반면 어떤 리스크도 없이 안정적으로 종잣돈, 일명 '시드머니'를 차곡차곡 모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은 종잣돈으로 주식이나 코인 등 다양한 상품에 분산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은행 예금, 적금은 가장 기본적인 저축 방식이고,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 선택하는 저축 방식인데도 그 차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분들이 태반입니다.

 

 

 

 

 

 

A. 은행 예금이란?

 

은행 예금은 크게 '보통예금'과 '정기예금'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통예금'은 은행 거래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개설하는 '입출금 통장'을 말합니다. 입출금 통장은 어떤 제약도 없이 수시로 입금과 출금이 자유로운 가장 기본적인 통장입니다.

 

<보통예금통장, 입출금 통장, 일반통장>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지만 이름만 다를 뿐 결국 다 용도가 같은 통장입니다. 이 통장에는 목돈을 통장에 저금해도 기본 이율만 적용되기 때문에 이자는 티끌에 불과합니다.

 

반면 '정기예금'은 성격이 다릅니다. 자유로운 입출금 통장과 달리 가입한 일정 기간 동안 목돈을 은행에 저금하고, 가입할 당시에 해당 은행 기준 금리를 이자 수익으로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정기예금 가입 기간은 3개월, 6개월, 1년, 2년, 3년, 5년 등 다양한 기간을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하는 기간이 길수록 당연히 이자수익은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보통예금 통장과 달리 중간에 마음대로 예금한 돈을 찾을 수 없고, 예금을 중도에 해지할 경우 위약금은 없지만 적은 이자만 지급받게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은행에 자신이 예금한 상품을 담보로 대출을 받거나 필요에 의해 돈을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필요한 돈을 저금하는 경우에는 가입 전 은행 직원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B. 은행 적금이란?

 

은행 적금은 크게 '정기적금'과 '자유적금' 두 가지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금'은 정기예금과 마찬가지로 가입한 일정 기간 동안 정한 금액을 저금하게 되고,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기예금은 한 번에 목돈을 저금하는 형태지만 정기적금은 매달 자신이 계약한 금액을 정한 날짜에 입금하는 형태의 상품입니다.

 

'자유적금'은 매달 정해진 날에 금액을 입금하는 정기적금과 달리 자신이 원하는 날에 원하는 금액만큼 입금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기본적인 개념은 이렇지만 적금 상품의 형태도 위에서 언급한 방식과 달리 변칙적인 상품이 많기 때문에 역시 충분한 상담 과정을 거쳐 가입하시는 게 좋습니다.

 

 

 

 

 

C.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위에서 언급했지만 '예금'은 한 번 가입할 때 돈을 한 번에 입금하고 만기 되면 이자와 함께 찾는 방식이고, 적금은 매달 얼마씩 정한 기간만큼 입금하고 만기 되면 이자와 함께 방식입니다.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이자입니다. 같은 기간 동안 같은 금액을 동일한 금리로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적금 이자는 예금 이자의 절반 수준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정상적으로 이 글을 읽었다면 두 상품의 저축 방식의 차이는 이해가 되지만 어딘가 빠진 것 같은 아쉬움이 남아야 정상인데요. 부족한 부분은 다음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